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나르시시스트는 정말 자기애가 강할까?

by bethanyes 2025. 8. 9.

[자기애성 성격의 오해와 진실]

"저 사람은 완전 자기애가 강한 사람이야."

"맨날 자기 자랑만 하고, 다른 사람 얘기는 들을 생각도 없어."

우리는 이런 사람을 흔히 '나르시시스트'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심리학에서 말하는 '나르시시즘(Narcissism)'은 단순히 '자신을 사랑하는 성형'과 조금은 다른 개념입니다.

오히려 많은 나르시시스트은 겉으로는 자신감이 넘쳐 보이지만, 내면에는 불안정한 자존감을 숨기고 있는 경우가 많죠.

이번 글에서는 나르시시즘의 심리학적 정의와 그에 대한 오해와 진실, 그리고 관계에서 주의할 점을 살펴보겠습니다.

[나르시시즘의 뜻과 기원]

'나르시시즘'이라는 단어는 그리스 신화 속 나르키소스 이야기에서 유래했습니다.

한 번쯤 들어보셨을 수도 있을 것 같아요. 물에 비친 자기 모습에 반해, 그 자리를 떠나지 못하고 결국 죽어 꽃이 되었다는 이야기죠. 심리학에서 나르시시즘은 자신에 대한 과도한 관심과 집착, 그리고 타인에 대한 공감 부족을 특징으로 하는 성향을 말합니다.

[자기애와 나르시시즘은 엄연히 다르다]

건강한 자기애는 자신을 존중하고, 자신의 장단점을 현실적으로 인식하며,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을 이야기하고, 나르시시즘은 타인의 인정과 칭찬에 과도하게 의존하며, 비판에는 취약하며 스스로를 과대평가하거나 과소평가하는 극단적인 패턴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건강한 자기애는 자기 존중과 자존감의 표현이지만, 나르시시즘은 불안정한 자아를 보호하기 위한 방어기제에 가깝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나르시시스트의 심리적 특징]

1. 과대자기(誇大自己)이미지

과대자기의 심리학적 의미는 자기애적 구조의 한 부분으로 전능감과, 과대감, 과시적 자기애 등의 특징을 지니는 무의식적 심리구조입니다. 어렵죠...

조금만 더 쉽게 이야기하자면 과대자기는 자기애적 성격장애의 무의식적 심리구조라고 생각하고 넘어가셔도 돼요.

스스로를 특별하고 뛰어난 존재로 인식하며, 타인에게도 그렇게 보이길 원합니다. 이 때문에 과도한 자기 자랑이나 업적 과시가 나타나게 되는 거죠.

2. 타인에 대한 공감 부족

다른 사람의 감정이나 입장을 이해하거나 공감하는 능력이 낮습니다. 관계가 '상호'가 아니라 '일방'인 경우가 많죠.

3. 인정 욕구

칭찬과 주목을 받으면 기분이 고양되지만, 비판이나 무시에 과도하고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관계의 도구화

타인을 자신의 목표나 이미지 유지를 위한 도구로 여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5. 취약한 자존감

겉으로는 자신감이 넘치지만, 내면에는 비판과 거절에 쉽게 상처받는 불안정한 자존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나르시시즘의 유형]

심리학에서는 나르시시즘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눕니다.

1. 과시형 나르시시즘(Grandiose narcissism)

  • 자신감 있고 외향적이며, 주목받기를 원함
  • 성공, 권력, 외모 등에 집착
  • 표면적으로 매력적일 수 있지만, 장기적인 관계 유지가 어려움

2. 취약형 나르시시즘(Vulnerable narcissism)

  • 겉으로는 조용하고 겸손해 보이나, 내면에는 인정 욕구가 큼
  • 비판에 매우 민감하고, 관계에서 쉽게 상처받음
  • 자신을 과소평가하다가도 갑자기 과대평가하는 변동이 큼

[나르시시스트와의 관계에서 주의할 점]

나르시시스트와의 관계는 처음엔 매력적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정서적 소모가 커지고, 상대방의 인정 욕구를 계속 채워줘야 하는 상황에 놓일 수 있어요.

관계에서 나타나는 패턴

  • 초반 : 매력적이고 카리스마 있으며, 나를 특별하게 대함
  • 중반 : 나의 필요보다 자신의 필요를 우선시함
  • 후반 : 나를 비판하거나 무시함. 또는 갑작스럽게 거리를 두기도 함

이런 패턴을 인식하는 것이 자신의 감정을 지키는 첫걸음입니다.

[나르시스트를 대하는 방법]

1. 경계 설정

"나는 이 부분까지는 해줄 수 있지만, 그 이상은 힘들어." 이런 식으로 관계에서 명확한 한계를 정해보세요.

2. 과도한 인정 욕구에 휘말리지 않기

끊임없이 상대를 칭찬하고 인정하는 역할에 갇히면 금세 지치게 됩니다.

3. 감정 기록하기

그동안 저는 8개의 글을 포스팅하고 지금이 9번째 포스팅인데요. '기록하기'라는 방법을 정말 많이 제시하고 있죠. 저는 '기록'이라는 방법을 제시하지만 여러분들은 기록까지 하지는 않더라도 생각으로 되새김질하는 것만으로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나르시시스트와의 대화 후 내가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 적어 보면 관계의 패턴이 더 선명하게 보일 거예요. 

4. 거리 두기

정서적 소모가 심하다면, 관계를 잠시 멀리하거나 완전히 정리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나르시시스트는 겉보기엔 자기애가 강한 사람 같지만, 실제로는 불안정한 자존감을 보호하기 위해 과장된 자아 이미지를 유지하는 사람일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그들과의 관계에서는 내 감정과 에너지를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자기애는 필요하지만, 타인을 존중하지 않는 자기애는 결국 관계와 자신을 모두 지치게 만든다는 걸 기억하세요.

 

어제보다 나은 오늘을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