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존감21

변화를 수용하는 정체성, 자기 수용과 자기 확장 [자기 개념의 유연성]우리는 흔히 '정체성'을 변하지 않는 고정된 무언가로 생각하곤 합니다. 하지만 심리학적 관점에서 정체성은 돌에 새겨진 문구가 아니라, 끊임없이 재구성되는 과정에 가깝습니다. 환경이 바뀌고, 관계가 변하며, 경험이 쌓일수록 우리의 자아도 새로운 모습으로 변합니다. 이를 '자기 개념의 유연성'이라고 부릅니다.[자기 개념이란 무엇인가?]자기 개념은 내가 누구인지에 대한 인식, 즉 '나는 어떤 사람이다'라는 자기 정의입니다.여기에는 성격, 가치관, 능력, 관계 속의 역할 등이 포함됩니다. 자기 개념은 한번 정해지면 끝나는 것이 아니라, 삶의 경험과 사회적 상호작용 속에서 계속 변화합니다.[유연한 자기 개념의 필요성]1. 현대 사회의 불확실성빠르게 변하는 사회에서 고정된 정체성은 오히려 불안.. 2025. 8. 20.
나는 누구인가? 자아를 다시 세우는 과정 [자아 정체성 혼란]"나는 누구일까?"라는 질문은 단순한 호기심이 아니라 인간이 살아가면서 끊임없이 마주하는 근본적 고민입니다. 청소년기에는 특히 자아 정체성의 혼란이 두드러지며, 성인기에 들어서도 중요한 전환점마다 같은 물음이 반복됩니다. 심리학에서는 이를 '정체성 혼란(Identity Confusion)'이라고 부릅니다.[자아 정체성이란?]자아 정체성은 내가 누구인지, 어떤 가치와 신념을 갖고 살아가는지에 대한 일관된 자기 인식을 말합니다. 이는 단순히 이름이나 직업 같은 표면적 특성이 아니라, 내 삶의 방향과 내가 세상 속에서 어떤 존재로 살아가고 싶은지에 대한 통합된 개념입니다.[에릭슨의 심리사회 발달 이론]심리학자 에릭 에릭슨은 인간 발달의 8단계 중 청소년기를 정체성 대 역할 혼란 단계로 정의.. 2025. 8. 19.
왜 우리는 타인의 시선을 의식할까? 그리고 사람들은 정말 나만 보고 있을까? [눈치 보기의 심리학]우리는 일상에서 크고 작은 순간마다 '눈치'를 보곤 합니다.회의 중에 말을 꺼낼 때, 친구에게 부탁할 때, 심지어 식당에서 메뉴를 고를 때조차도 타인의 시선을 의식합니다. 눈치는 사회적 관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꼭 필요한 기술이지만, 지나치면 불필요한 불안과 자기 검열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심리학적으로 눈치 보기는 왜 생겨나고, 어떻게 균형을 잡을 수 있을까요?[눈치 보기는 사회적 생존 전략]인간은 본능적으로 타인의 평가를 의식합니다. 왜냐하면 오래전부터 집단 속에서 살아남아야 했기 때문인데요, 고대 사회에서 집단의 눈 밖에 나면 생존 자체가 어려웠습니다. 따라서 "타인의 반응을 민감하게 읽는 능력"은 곧 생존 전략이었습니다.최근에도 이 본능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사회적 .. 2025. 8. 17.
말하지 않아도 상처 주는 심리 [소극적 공격성]우리는 흔히 공격성을 '화내는 것'이나 '큰소리치는 것'으로만 생각합니다.하지만 어떤 공격성은 훨씬 은밀하고 조용하게 드러납니다.겉으로는 괜찮다고 말하면서 속으로는 불만을 품고, 직접적인 대립 대신 은근히 상대를 불편하게 만드는 방식이죠.이를 심리학에서는 '소극적 공격성'이라 부릅니다.[소극적 공격성이란?]소극적 공격성은 직접적으로 감정을 표현하지 않고, 간접적이고 우회적인 방식으로 상대방에게 불만을 드러내는 행동입니다.예를 들어,해야 할 일을 일부러 늦게 하거나,"괜찮아"라고 말하면서 냉담한 태도를 유지하거나,대화를 피하고 짧게만 대답하는 것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겉으로는 갈등을 피하는 듯 보이지만, 사실상 상대방에게 분명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는 셈입니다.[왜 이런 행동을 할까?]1.. 2025. 8. 16.
감정적 회피와 관계 단절, 그리고 감정을 숨기는 습관 [피하는 습관이 남기는 상처]우리는 관계에서 갈등이나 불편함을 느낄 때, 본능적으로 피하고 싶어집니다.연락을 늦게 하거나, 중요한 대화를 미루고, 아예 만나지 않기도 하죠.이런 행동을 심리학에서는 '감정적 회피'라고 부릅니다.문제는, 이 습관이 쌓이면 관계는 서서히 단절되고,남는 건 더 깊어진 고립감과 상처뿐이라는 점입니다.[감정적 회피란 무엇인가?]감정적 회피는 불편한 감정을 직면하기보다 피하는 선택입니다.여기서 불편한 감정이란, 분노, 실망, 수치심, 두려움, 죄책감 등 관계 속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다양한 감정을 말합니다.예를 들어, 친구와의 약속이 취소됐을 때 실망감을 표현하는 대신 그냥 연락을 끊거나 거리를 두는 것이 감정적 회피의 한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왜 우리는 감정을 피할까?]1... 2025. 8. 15.
왜 외로울수록 빠져들까? [외로움과 중독의 관계]우리는 누구나 외로움을 느낍니다. 하지만 어떤 사람은 외로울 때 잠시 산책이나 책을 읽으며 시간을 보내지만, 어떤 사람은 스마트폰, 게임, 술, 쇼핑, 음식에 깊이 빠져듭니다.이 차이는 단순히 '의지력'의 문제가 아닙니다.심리학적으로 보면, 외로움은 뇌의 보상 시스템과 감정 조절 방식에 큰 변화를 일으켜 중독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외로움이 뇌에 미치는 영향]외로움은 단순한 감정 상태가 아니라 신경학적 변화를 유발합니다. 사회적 보상을 얻지 못할 때, 뇌는 그 공백을 채우기 위해 즉각적 쾌락을 찾습니다. 이 과정에서 활성화되는 것이 도파민 보상 시스템입니다.예를 들어, 대화와 인정의 욕구를 SNS '좋아요' 알림으로 대체하거나, 성취와 소속감의 욕구를 게임에서의 레.. 2025. 8. 14.